EOS 100D 조리개 변경에 따라 달라지는 피사계 심도
사진에 들어오는 빛의 양을
조절하는 방법은 총 3가지 입니다.
1. 조리개
2. 셔터 스피드
3. 감도
오늘은 조리개를 변경하면 사진에
어떤 변화가 발생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.
이론적인 내용은 링크로 대신하니
클릭해서 확인해 보세요.
위키백과 - 피사계 심도
http://ko.wikipedia.org/wiki/%ED%94%BC%EC%82%AC%EA%B3%84_%EC%8B%AC%EB%8F%84
[DSLR 강좌] 피사계 심도 조절1 [DSLRMALL - 디카강좌]
http://blog.naver.com/dslrmall/120042383699
F-넘버가 작을 수록(1에 가까움)
심도가 좁아지고
F-넘버가 높을 수록(22에 가까움)
심도가 넓어집니다.
직접 찍은 사진을 보면서 살펴보겠습니다.
캐논 EOS 100D / EF 40mm STM / M 모드(F2.8, 1/320초) / ISO 1600 / LED 등
캐논 EOS 100D / EF 40mm STM / M 모드(F3.2, 1/320초) / ISO 1600 / LED 등
캐논 EOS 100D / EF 40mm STM / M 모드(F6.3, 1/80초) / ISO 1600 / LED 등
캐논 EOS 100D / EF 40mm STM / M 모드(F11, 1/25초) / ISO 1600 / LED 등
캐논 EOS 100D / EF 40mm STM / M 모드(F22, 1/6초) / ISO 1600 / LED 등
심도가 넓어질 수록
초점이 맞는 범위가 넓어집니다.
전경과 배경 모두를 선명하게 찍고 싶을 때는
조리개를 최대한 조이고(~F22)
인물이나 꽃사진을 찍을 때 배경을 흐릿하게
하고 싶으면 조리개를 최대한 개방(F1.4~)하면
풍경은 선명하게
인물과 꽃사진은 배경을 흐리게
찍을 수 있습니다.
1. 심도 차이에 따른 배경 흐림효과
캐논 EOS 100D / EF 40mm STM / M 모드(F2.8, 1/125초) / ISO 400 / 태양광
캐논 EOS 100D / EF 40mm STM / M 모드(F22, 1/2초) / ISO 400 / 태양광
EF 40mm STM 렌즈에서 가능한
최대(F2.8)-최소(F22) 조리개값으로
한번 찍어보았습니다.
F2.8에서는 배경이 전부
흐릿한 상태로 표현되었습니다.
보통 '아웃포커싱'이고 하죠.
F.22에서는 화면의 모든 곳에
초점이 선명하게 맞아 있습니다.
2. 심도 차이에 따른 근경 흐림효과
캐논 EOS 100D / EF 40mm STM / M 모드(F2.8, 1/40초) / ISO 400 / 태양광
캐논 EOS 100D / EF 40mm STM / M 모드(F22, 1/6초) / ISO 400 / 태양광
심도가 깊어지는 방향은 앞뒤 모두 해당합니다.
즉 초점을 중경에 맞추고 근경 원경 모두
흐릿하게 표현할 수 있다는 이야기죠.
샘플 사진은 효과가 크지 않지만
꽃이나 인물 사진을 잘 찍으면
그럴듯한 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.
이상 조리개 변경에 따라 달라지는
피사계 심도에 대해 알아봤습니다.
심도를 설정하기 위해
매번 M(메뉴얼) 모드로 찍는 건 꽤 번거롭습니다.
그럴 때는 Av(조리개 우선) 모드로 설정하세요.
조리개값만 설정해 주면 나머지는
카메라에서 자동으로 맞춰주거든요.
다음시간에는 셔터 스피드에 대해
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