작년 12월 이후로 2달째 거의 놀고 있다. 사실 놀지는 않고 작업 공부도 하고, 공모도 쓰고 헬스도 열심히 하고 나름 최선을 다하려고 하지만, 그게 최고의 결과로 이어지지는 않는 느낌이다.
가끔 공고를 보면 주 3회 정도 일할 수 있는 공고가 올라와서 지원을 할까 엄청 고민하는 중이지만 일단 상반기까지는 버텨보자는 생각이다.
소득은 없지만 매달 나가는 고정비용이 많다. 정리를 해보면
1. 집 월세 약 10만 원
2. 관리비 약 12만 원
3. 청년희망적금 50만 원
4. 노란우산공제 20만 원
5. 건강보험료+연금보험료 약 7만 원
6. 소상공인 대출이자 약 5만 원
7. 휴대폰 약 3만 원
반올림한 비용들이 많지만 대충 추리면 숨만 쉬어도 107만 원이 나간다.
여기에 식대 20만 원, 작업에 쓰는 재료비 평균 20만 원, 약값이나 병원이 10만 원, 가끔 사람 만나서 쓰면 문화비 10~20만 원을 쓰고 나면 그냥 한 달에 200 가까이 되는 돈이 나간다.
그냥 일을 하면 200만 원을 못 벌겠냐만은 작업을 포기해야 하니 간단한 문제가 아니다.
107만 원은 어차피 나가는 비용이고, 여기서 70만 원은 어쨌든 저축성이니 실질적으로 숨만 쉬어도 나가는 비용은 40만 원 정도이고, 생활비로 40만 원 정도를 쓰면 어떻게든 적자를 안 내고 버틸 수 있다.
작업은 해야 하고 전시를 나가려면 재료비 등 비용이 발생하는 것은 어쩔 수 없고 지원사업이 아직 된 것이 없으니 줄일 것은 식대랑 노는 비용뿐이다.
사람은 평소에 잘 안 만나니 군것질을 줄이고, 전시는 봐야 하니 밖에서 사 먹는 일을 줄이면 어떻게든 가능할지도...
작년 지원사업 때는 회의비가 따로 책정되어 있어서 먹는 것에 스트레스를 안 받아서 좋았는데, 올 초는 참 어렵다.
일단 버티려면 아프지 말고, 안 먹으면 다이어트도 되고 나쁠 건 없다.
크몽은 가끔 연락이 오기는 하지만 정말 드문드문 오기 때문에 살림에 보탬은 안된다. 그래서 얼마 전에 숨고를 가입하고 전문가로 등록했다. 포트폴리오를 좀 올려놓고 기다리면 어떤 식으로든 연락이 오지 않을까 싶다.
이게 작업과 병행해서 일을 하려면 일의 범위가 크게 제한된다. 몸이 힘든 건 괜찮은데 정신적으로 너무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일은 안된다. 너무 적은 금액으로 소모적으로 이어지는 일도 힘들다.
힘들다는 게 못하겠다는 게 아니라 작업과 병행이 힘들다는 거다. 어설프게 둘 다 할 거면 그냥 작업을 때려치우는 게 낫다. 그렇게 생각하니 적당한 일을 찾기도 어렵다. 재벌집 막내아들 진양철 회장으로 명연기를 펼친 이성민도 결혼 초반에 생활고로 힘들었다고 했다. 아마 나랑 비슷한 상황일 거다. 게다가 결혼까지 했으니 얼마나 힘들었을까.
그냥 내 상황을 다 이해해 주고 같이 으쌰으쌰 할 사람이 옆에 있으면 좋겠다. 근데 세상은 그렇게 낭만적이지 않다. 돈이 전부는 아니지만 돈이 없으면 구차해진다.
그래서 오늘도 열심히 블로그 글을 적는다. 요즘에는 하루 500원씩 들어온다. 조금 더 모으면 하루에 초콜릿 1개는 사 먹을 돈이다. 참 한심하긴 한데, 쉽지가 않다.
솔직히 블로그로 제대로 돈을 벌려면 돈만 보고 그에 맞춰서 글을 쓰면 된다. 하면 되는데 그냥 뭔가 쓸데없는 자존심 같은 게 있어서 그런가 보다. 포기할 걸 빨리 포기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하는 걸 보니 아직 배가 부른가 보다.
아무튼 심난해서 쓰는 글 그럼 이만.
만약에 청약이 당첨된다면... (0) | 2023.02.15 |
---|---|
눈이 잘 안 보인다...큰일... (0) | 2023.02.05 |
예술가로 살기, 미술가로 살기 (0) | 2023.01.23 |
3D 스캔을 공부하고 있는데 어렵다. (0) | 2023.01.20 |
작업을 그냥 다 그만두고 싶은 때가 있다. (0) | 2023.01.13 |
내 블로그 - 관리자 홈 전환 |
Q
Q
|
---|---|
새 글 쓰기 |
W
W
|
글 수정 (권한 있는 경우) |
E
E
|
---|---|
댓글 영역으로 이동 |
C
C
|
이 페이지의 URL 복사 |
S
S
|
---|---|
맨 위로 이동 |
T
T
|
티스토리 홈 이동 |
H
H
|
단축키 안내 |
Shift + /
⇧ + /
|
* 단축키는 한글/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,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.